안녕하세요.
오늘은 달러 인덱스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달러 인덱스란?
- U.S. dollor Index (티커 : DXY)
- 전 세계의 주요 통화들 중 달러의 강세와 약세를 나타내는 종합지표
- 세계 주요 6개국의 통화에 대비한 달러화의 평균 가치를 표시하는 지표.
- 세계 주요 6개국 통화는 유럽 연합의 유로, 일본의 엔, 영국의 파운드, 미국의 달러, 노르웨이의 크로네, 스위스의 프랑을 말한다.

각 통화의 비중은 그 국가의 경제 규모에 따라 결정됩니다.
유로 57.6%, 엔 13.6%, 영국 파운드 11.9%, 캐나다 달러 9.1%, 스웨덴 크로나 4.2%, 스위스 프랑 3.6%로 비중이 정해져 있습니다.
달러 인덱스는 유로화와 반대의 흐름을 많이 보입니다.

달러 인덱스의 시작
달러 인덱스는 1973년에 시작됐으며, 당시 지수를 기준(100)으로 설정합니다.
만약에 현재 지수가 90이라면 1973년보다 10% 약세를 보이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반대로 현재 지수가 120이라면 20% 강세를 보이고 있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1973년 3월을 기준점인 100으로 하여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FRB)에서 작성하고 발표합니다.

달러 인덱스를 사용하는 이유
유로, 엔화 등의 가치가 변경되고 난 후 달러의 가치를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세계 주요 통화들의 변동과 달러의 변동을 계산해서 지표로 나타내는 달러 인덱스를 사용합니다.
현재 달러의 평균 가치가 어느 정도 되는지를 바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달러의 가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달러 인덱스가 보여주는 모습
미국 경제
달러 인덱스는 미국 경제의 상황을 반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달러 인덱스가 강세에 있다면 미국 경제 상황이 상대적으로 좋아졌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주식 시장과의 연관성
달러는 대부분 안전자산으로 분류합니다.
달러 인덱스가 상승할수록 미국 국채 수익률이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주식시장이나 상품시장이 약세를 띄는 모습을 보입니다.
하지만 달러 인덱스의 변화에 국채 수익률이나 주식시장이 변동되는 것인지 혹은 반대로 움직이는 것인지는 자세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댓글